Do it 알고리즘 C언어편 - 2장 연습문제 78p~79p(ing)
·
Algorithm/[C] Do it!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
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2-1장 기본 자료구조 - 배열 : 증가 연산자 ++i / i++ (6/10)
·
Algorithm/[C] Do it!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
해당 내용은 Do it!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 C 언어 편 (전면 개정판)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2-1장 기본 자료구조 - 배열 : 증가 연산자 ++i / i++ (6/10) 전위형 증가 연산자 ++a - ++를 앞에 놓으면 식 전체를 평가하기 전에 피연산자의 값을 증가 - a값이 3일 때, b = ++a를 실행하면 먼저 a가 증가한 값인 4가 된다. - 그런 다음 ++a를 평가한 값 4를 b에 대입한다. - 결국 a와 b 둘 다 4가 된다. 후위형 증가 연산자 a++ - ++를 뒤에 놓으면 식 전체를 평가한 후에 피연산자의 값을 증가한다. - a값이 3일 때, b = a++를 실행하면 먼저 a++를 평가한 값 3을 b에 대입한다. - 그런 다음 ++가 수행되어 a는 4가 된다. -..
2-1장 기본 자료구조 - 배열 : 기수변환 (5/10)
·
Algorithm/[C] Do it!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
해당 내용은 Do it!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 C 언어 편 (전면 개정판)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2-1장 기본 자료구조 - 배열 : 기수변환 (5/10) 기수와 서수는? 기수란 - 수를 나타내는 데 기초가 되는 수 - 일, 이, 삼, 사, 오 .... 서수란 - 사물의 순서를 나타내는 수 - 첫째, 둘째, 셋째, 넷째 기수변환 - 정수값을 임의의 기수(cardinal number)로 변환하는 알고리즘 - 10진수 정수를 n진수 정수로 변환하려면 정수를 n으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는 동시에 그 몫에 대해 나눗셈을 반복해야 한다. n 진수란? - n진수는 n을 기수로 하는 수 정수 상수의 n진수 표현 방법 - 정수 상수는 정수 계열의 값을 나타내는 10진수, 8진수, 16진수이다. - 정..
2-1장 기본 자료구조 - 배열 : 포인터와 배열 (4/10)
·
Algorithm/[C] Do it!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
해당 내용은 Do it!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 C 언어 편 (전면 개정판)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2-1장 기본 자료구조 - 배열 : 포인터와 배열 (4/10) 포인터 pointer - 객체 또는 함수를 가르키는 것 int *p; // p는 int형 객체를 가르키는 포인터 double *q; // q는 double형 객체를 가르키는 포인터 포인터의 자료형 - 포인터가 가르키는 곳의 객체의 자료형을 따라 간다. - int*형은 int형 객체를 가르키는 포인터를, double*형은 double형 객체를 가르키는 포인터이다. // n이 int형 객체일 때, p가 n을 가리키도록 함 p = &n; // p에 n의 주소를 대입 *p = 999; - 간접 연산자인 단항 연산자 *를 사용하여 포인..
2-1장 기본 자료구조 - 배열 : 메모리 할당, 동적 객체 (3/10)
·
Algorithm/[C] Do it!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
해당 내용은 Do it!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 C 언어 편 (전면 개정판)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2-1장 기본 자료구조 - 배열 : 메모리 할당, 동적 객체 (3/10) // int형 객체를 동적으로 생성하고 해제 #include #include int main(void){ int* x = calloc(1, sizeof(int)); // int형 포인터에 메모리 할당 if (x == NULL) puts("메모리 할당에 실패했습니다."); else { *x = 57; printf("*x = %d\n", *x); free(x); // int형 포인터에 할당한 메모리 해제 } return 0; } 메모리 확보 함수 : malloc() 메모리 확보 함수 : calloc() - 호출한 cal..
2-1장 기본 자료구조 - 배열 : 메모리구조 (2/10)
·
Algorithm/[C] Do it!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
해당 내용은 Do it!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 C 언어 편 (전면 개정판)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2-1장 기본 자료구조 - 배열 : 메모리구조 (2/10) C 언어의 메모리 구조 / 영역 : data, stack, heap - 운영체제는 프로그램이 사용할 메모리 영역을 할당한다. - C언어에서 할당하는 메모리 영역 총 3가지 (data, stack, heap) 할당 시기 : 프로그램이 실행될 떄마다 할당 할당 장소 : 메인 메모리 (RAM) 할당 용도 : 프로그램 실행에 필요한 메모리 영역 (지역 변수, 전역 변수 선언을 위해) 할당 데이터(data)영역 - 전역 변수와 정적(static)변수가 할당되는 영역 - 프로그램을 시작하면 할당하고, 프로그램을 종료하면 메모리에서 해제함 스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