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장 퀴즈 (gpt made) (ing)
·
Basic/운영체제 OS
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Ch09 가상 메모리 관리 (ing)
·
Basic/운영체제 OS
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Ch10 배치 다이어그램 (ing)
·
Basic/소프트웨어공학 (UML)
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Ch09 컴포넌트 다이어그램 (ing)
·
Basic/소프트웨어공학 (UML)
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Ch07 물리 메모리 관리
·
Basic/운영체제 OS
해당 내용은 쉽게 배우는 운영체제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1. 메모리 이해하기메모리 구조는 1 Byte 크기로 나뉜다.1Byte = 8 bit1B로 나뉜 메모리의 갹 영역은 주소 address로 구분됨주소는 0번지부터 시작CPU = 매인 메모리에 있는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작업 결과를 메인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해 주소 사용주소  ➡  CPU와 메인 메모리 간 작업의 기준이 된다. 운영체제도 프로그램이므로 메인 메모리에 올라와야 실행할 수 있다.  컴퓨터 부팅 시 ->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운영체제가 메모리에 올라감부팅 끝날 시 -> 여러 응용 프로그램이 메모리에서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.  메인 메모리는 매우 빠른 장치 같지만, CPU 입장에서는 느린 장치이다. 메모리에 접근하는 속도가 몇 배 이상 느리다 ..
Ch09 가상 메모리 관리 요약
·
Basic/운영체제 OS
0. 메모리 관리자 하는 일가져오기 정책(when) : 프로세스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언제 메모리로 가져올지 결정하는 정책배치 정책(where) : 가져온 프로세스를 메모리의 어느 위치에 올려 놓을지 결정하는 정책재배치 정책(which process) : 메모리가 꽉 찼을 때, 메모리 내에 있는 어떤 프로세스를 내보낼지 결정하는 정책1. 운영체제필요한 모듈만 메모리에 올려 실행하고 나머지 모듈은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메모리로 불러온다. 프로세스의 일부만 메모리로 가져오는 이유메모리 효율적으로 관리 : 꽉 차면 관리 어려움 -> 적은 양의 프로세스만 유지응답 속도 향상 : 용량 큰 프로세스 전부 메모리로 가져오면 응답 느려짐2. 요구 페이징요구페이징개념 : 사용자가 요구할 때 해당 페이지를 메모리로 가져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