해당 내용은 처음 만나는 인공지능 도서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
2.1 인공지능 도우미와 소프트웨어 공개 동향
1. 인공지능 도우미들
- 애플의 '시리'
- 애플의 인공지능 비서 iOS용 소프트웨어
- 2011년 아이폰4S와 함께 공개된 음성인식 서비스
- 페이스북의 '챗봇'
- 2013년에 페이스북 인공지능연구소 설립
- 페이스북 이용자를 위한 인공지능 채팅 플랫폼 챗봇 공개
- 아마존의 '알렉사'
- 2014년에 인공지능 플랫폼 알렉사 개발
- 알렉사 사용자는 아마존 에코로 알렉사와 의사소통 가능
- 마이크로소프트의 '코타나'
- 2014년에 발표한 지능형 개인 비서 소프트웨어
- 윈도우즈 기반 PC와 모바일 등을 위해 개발됨
- 한국어 지원 안됨
- 구글의 '구글 어시스턴트'
- 2016년에 발표한 인공지능 비서 시스템
- 삼성전자의 '빅스비'
- 2017년에 인공지능 가상 비서 소프트웨어 공개
- 갤럭시S8 이후 버전에 탐재됨
2.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공개 동향
- 인공지능용 소프트웨어를 오픈소스로 공개
- Why? 글로벌 IT 기업들이 인공지능 생태계를 만들어 선도할 목적으로 소스코드를 오픈하였다.
- 오픈소스란? 프로그램 소스코드를 무료로 공개함을 의미
- 주요회사들의 오픈소스 현황
- 마이크로소프트의 '코타나' 오픈소스
- 구글의 '텐서플로' 오픈소스
- 페이스북의 '빅서' 공개
- 바이두의 'WARP-CTC' 공개
3. 인공지능 시장 전망
- 세계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시장의 급속한 성장 전망
- 2018년 ($95억) -> 2025년 ($1,186억)으로 성장
- 자연어 처리, 언어 번역, 로봇 자동화, 머신러닝 등 포함
4. 인공지능 관련 특허와 국가별 인공지능 역량 순위
- 인공지능 기술 발전과 함께 특허 수 급증
- 특허 등록 이유 : AI 기술의 보호와 경쟁 우위를 위한 등록
- 특허 등록 분야 : 머신러닝, 신경망, 자연어 처리, 인공지능 칩, 영상인식 분야
- 2023년 'The Global AI Index' 순위 ... 1위 미국... 2위 중국... 6위 한국....10위 핀란드
2.2 인공지능 기술 경쟁과 인공지능 교육
1. 인공지능 기술의 치열한 경쟁
- 선진국 정상들이 인공지능 정책을 진두지휘하고 있음
-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인공지능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
- 중국 시진핑은 차세대 인공지능 발전 계획 추진
- 미국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에의 기술 유출에 강경 대처로 첨단 반도체 개발 장비와 인공지능 반도체의 중국 수출을 규제함
-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은 프랑스를 인공지능의 중심도시로 함을 목표함
- 프랑스 파리에 삼성전자 인공지능 연구소 유치와 'Station F'를 오픈함
- 독일은 제조업에 인공지능을 접목한 '인더스트리 4.0'을 오픈
2. 나라별 인공지능 교육 및 연구
1. 일본
- 인공지능 인재 육성 전략 발표
- 초등 과정부터 평생교육까지 인공지능 인재 육성
- 2020년부터 초등학생 인공지능 교육 의무화
- 대학교 신입생 60만 명 전원에게 인공지능 기초 교육 실시
구분 | 초중교육 | 고등교육 | 대학교육 | 평생교육 |
교육 형태 | 기초정보 능력 | 수리와 데이터 교육 | 인공지능과 데이터 사이언스 | 인공지능 기술 습득 |
목표 인원 | 연 100만 명 | 연 100만 명 | 연 50만 명 | 연 전문가 2천 명 |
인공지능 관련 | 인공지능 기초 개념 | 인공지능 기초 실습 | 인공지능 복수 전공 | 인공지능 직업 훈련 |
2. 북한
- 인공지능연구소와 김책공대 등에서 중점적으로 교육과 연구 진행
3. 중국
- 2025년까지 인공지능이 혁신 산업 발전의 원동력 목표
- 2030년에는 중국이 세계 최고의 인공지능 국가 목표
- 2018년부터 고교에서 인공지능 수업 진행
- 2019년에 인공지능학과와 빅데이터학과 대거 신설
4. 미국 : MIT 인공지능대학 설립
5. 한국
3. 인
2.3 인공지능의 생활 속의 다양한 응용
2.4 인공지능의 타 학문 분야에의 응용
2.5 인공지능과 일자리 문제
728x90